쾰른 태생의 막스 브루흐(Bruch, Max 1838.1.6-1920.10.20獨)는 19세기 후반 서부 독일에서 가장 존경 받던 오라토리오 작곡가이며, 리스트와 바그너의 뒤를 이은 작곡가 겸 지휘자로 활약한 낭만파의 대 작곡가이다. 그는 어려서 어머니에게 음악교육을 받기 시작하였으며 ‘본’에서 기초적인 교육을 받으면서 음악적 재능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14세 때 4년간 모차르트의 장학금을 받아 본격적인 음악 이론과 피아노를 배우게 되었다. 막스 브루흐는 캠브리지 대학으로부터 음악박사의 칭호를 받았으며, 러시아에서는 훈장, 그리고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아카데미의 객원지휘자로 추대되었다. 80회 탄생일에는 베를린대학으로부터 신학 및 철학의 명예박사의 칭호를 받았다. 그의 작곡 특징은 풍부한 화성에 있는데, 긴밀한 대위법적 성부의 진행과 단면적인 관현악법의 결합에 의해서 형식이 완성되었으며, 그의 음악 속에는 높은 민족적 표정이 담겨 있다. 그의 창작의 중요한 영역은 합창음악인 데, 관현악 곡 분야에서도 그의 특성을 잘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그것이 바로 일반에 유명하게 알려진 “바이올린 협주곡”과 “콜 니드라이” 등이다. 브루흐의 작품은 폭 넓은 음색 등의 로맨틱한 악풍이 대단한 매력을 느끼게 한다.

                               

                               

..http://cafe.daum.net/arthill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john 원글보기
메모 :



라벨 피아노 협주곡 2악장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john 원글보기
메모 :

Piano Concert No.2 in C minor, Op.18

라흐마니노프 / 피아노 협주곡2번
Sergei Vasili'evich Rakhmaninov,1873~1943

라흐마니노프, 피아노협주곡 2번 C단조 Op.18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중 걸작으로, 널리 연주되는 이 작품은 1899년부터 1901년에 걸쳐 작곡된 명작이다. 그는 4곡의 피아노 협주곡을 썼는데, 2번과 3번이 주로 연주되고 있다. 그는 26세 때부터 얼마 동안 신경 쇠약에 걸려 모든 것이 흥미를 잃고 고통스런 생활을 했는데 친구의 권고를 다라서 달 박사의 이른바 암시 요법으로 회복할 수 있었다. 박사는 매일 그를 자기의 진료소에서 어떤 암시를 주는 것이었다. "당신은 이제 좋은 작품을 쓸 수 있다. 그것은 대단히 훌륭한 것이 될 것이다."라는 덕분에 라흐마니노프는 다시 펜을 들어 제 2번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이 작품을 달 박사에게 감사하는 뜻으로 바쳤다.

1901년 10월 27일 모스크바에서 자신의 피아노 독주로 초연하였는데, 1904년에 이 작품은 글린카 상을 받게 되어 500 루우블을 타게 되었다. 이 작품은 일반에게 친숙하기 쉬운 통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긴장되고 힘찬 그러나 시적인 정서가 풍부한 협주곡이다.

제1악장(Moderato)C단조 2/2 박자. 소나타 형식.

먼저 독주 피아노의 거센 연주로 시작하고 이에 따라 오케스트라가 주요한 테마를 유도한다. 제 2 테마는 독주 피아노의 연주로 전개되는 장중한 선율이다. 이에 오케스트라가 독주자에 의해 모방적으로 취급되어 코다로 들어간다. 이것이 발전부와 재현부를 거쳐 여러 갈래로 진전되다가 행진곡풍으로 바뀌어지면서 급속한 템포이며 광휘에 찬 악장은 끝난다.


1악장(Moderato )
Philippe Entremont, piano
Leonard Bernstein, Conductor
New York Philgarmonic / May 3, 1994

제2악장(Adagio sostenuto) E장조 4/4 박자. 세도막 형식.

극히 느린 템포의 가장 아름다운 악장인데, 꿈을 보는 듯이 자유로운 형식의 환상곡이라고 하겠다. 말하자면 그의 다성부의 음악에 대한 역량과 오케스트라의 취급에 대한 천재적인 성능을 과시한 악장이다.


2악장(Adagio sostenuto )
Philippe Entremont, piano
Leonard Bernstein , Conductor
New York Philgarmonic / May 3, 1994

제3악장 (Allegro scherzando)C단조 2/2 박자.

빠른 템포의 강렬하고 찬연한 악장인데 불규칙한 형식으로 테마가 2개 나타난다. 먼저 오케스트라의 서주로 시작하여 피아노가 중심 주제를 연주한다. 제 2 테마는 오보와 비올라로 나타나는데 독주 피아노가 이를 반복한다. 발전부를 중심으로 한 개의 선율이 몇 개의 다른 악기로 뒤쫓아 얽혀지는 푸가를 거쳐 재현부를 지나 코다로 끝난다.


3악장(Allegro scherzando)
Philippe Entremont, piano 
Leonard Bernstein, Conductor
New York Philgarmonic /May 3, 1994

필립 앙트르몽 (Philippe Entremont, 1934.6.6~)

프랑스 룀 출생. 어려서부터 양친에게 피아노를 배우고 뒤에 M.롱에게 사사하였다.

파리음악원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한 후 1951년 롱 티보콩쿠르에서 우승하여 명성을 얻었으며 그로부터 유럽 ·미국을 중심으로 활약하였다. 현재는 지휘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다니엘 바렌보임, 미하일 플레트네프, 정명훈,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필립 앙트르몽의 공통점은?... 피아니스트 출신 지휘자. 정확히 말해서 피아니스트 겸 지휘자다. 건반 앞에서 지휘자 없이 피아노 협주곡을 연주하는 것은 기본이다. 피아니스트가 지휘자를 꿈꾸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피아노는 오케스트라의 축소판이기 때문이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피아니스트 겸 지휘자 필립 앙트르몽은 나이가 들면서, 피아니스트로써 또한 지휘자로써, 더욱 더 완숙된 테크닉을 보여주면서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어 마치전성기를 보고 있는 것만 같다. 2003년, 2004년엔 라벨의 피아노 작품 전곡을 녹음하여 기대를 모았다. . 2002년 10월에 예술의 전당 카다케스 오케스트라 초청 내한 공연을 가졌으며 2003년엔  2004년엔 호암아트홀에서, '세계음악계의 주역들을 초청하는 ‘해외연주자 시리즈'에 필립 앙트르몽이 참여하였다.  그외 빈 체임버 오케스트라와도  내한공연 한적이  있다.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하늘바람꽃 원글보기
메모 :
      -베토벤 교향곡 제7번 A 장조 작품 92- 로망 롤랭은 이 곡에 대해 다음과 같이 썼 는데, 이 말이야말로 이 곡의 진수를 말할 수 있었던 유일한 것이니라. 'A장조 교향곡은 도취자의 작품이라고 일 컬어지고 있다. 거대한 웃음을 수반하는 격정 의 흥분과, 사람의 마음을 어지럽히는 해학의 번뜩임, 상상할 수도 없는 황홀함과 열락(悅 樂)의 형상. 그것은 완전히 술에 취한 사람의 작품이며, 힘과 천재성에 도취한 사람이 만든 것이었다. 스스로 "나는 맛이 좋은 술을 인류 를위해 바치는 주신(酒神)이다. 사람에게 거 룩한 열광을 주는 것은 나이다"라고 일컫던 사 람의 작품이다.' 1813년 12월 8일,베토벤의 직접 지휘봉을 들고 이 곡을 초연했다. 이 교향곡은 그 수법 에서 베토벤의 교향곡 중 제 1위의 것이라고 들 한다. *클래식명곡해설 중에서...
1.Poco sostenuto-Vivach 2.Allegretto 3.Presto - Assai meno presto 4.Allegro con brio

..http://cafe.daum.net/arthill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john 원글보기
메모 :





Once Upon A Dream - Sop. 조수미 
Once upon a dream, 
I was lost in love's embrace
There I found a perfect place
Once upon a dream
Once there was time
Like no other time before
Hope was still an open door
Once upon a dream 

한 때 어느 꿈속에서
포근한 사랑에 푹 빠져 있었어요.
거기서 우리는 완벽한 곳을 찾아냈어요
옛날 언젠가 꿈에서 
예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희망의 문이 아직 활짝 열려 있었어요
한 때 어느 꿈속에서는요.
And I was unafraid
The dream was so exciting
But now I see it fade
And I am here alone 

난 두렵지 않았어요. 
너무나도 가슴 설레는 꿈이었지만
그 꿈이 사라져 가는 게 보여요
그리고 난 여기 홀로 남았어요.
Once upon a dream
You were heaven sent to me
But it wasn't meant to be
Now you are just a dream
Could we begin again
Once upon a dream
Could we begin again
Once upon a dream. 

한 때 어느 꿈속에서
당신은 하늘이 내게 보내준 사람이었어요 
하지만 우린 인연이 아니었나 봐요.
당신은 그저 꿈일 뿐인가요?
우리 다시 시작할 수 있을까요?
그 어느 꿈속에서 

출처 : 비밀의 정원
글쓴이 : 비밀의 정원 원글보기
메모 :
찬송가 전곡 듣기 *^_^*
조회 (1490)
찬송가 전곡듣기 | 2006/11/04 (토) 01:29
공감 (0) 스크랩 (15)
target=_son>
sunsunsunsunsunsun 
 
찬송가
 
검 색 
  검 색
 
  예배   송영   1 - 8
  찬양과 경배   9 - 55
  주일   56 - 58
  폐회   59 - 62
  아침과 저녁   63 - 68
  헌금   69 - 72
 
  성부   창조와 섭리   73 - 80
 
  성자   예수그리스도   81 - 103
  강림   104 - 107
  탄생   108 - 126
  생애   127 - 133
  고난   134 - 148
  부활   149 - 160
  재림   161 - 168
 
  성령   성령   169 - 181
 
  구원   속죄   182 - 202
  거듭남   203 - 209
  성결   210 - 219
 
  천국   천국   220 - 233
 
  성경   성경   234 - 241
 
  교회   하나님 나라   242 - 250
  전도와 선교   251 - 277
  친교와 봉사   278 - 280
 
  성례와 예식   성찬   281 - 285
  혼례   286 - 288
  장례   289 - 295
 
  절기와 성례   신년   296 - 297
  어린이   298 - 301
  청년   302 - 303
  어버이   304 - 304
  가정   305 - 305
  감사절   306 - 312
 
  성도의 생애1   부르심과 영접   313 - 329
  회개와 사죄   330 - 339
  신뢰와 확신   340 - 345
  소명과 헌신   346 - 362
  시련과 극복   363 - 367
  봉사와 충성   368 - 383
  분투와 승리   384 - 402
  은혜와 사랑   403 - 418
  인도와 보호   419 - 463
 
  성도의 생애2   평안과 위로   464 - 478
  기도와 간구   479 - 487
  축복과 감사   488 - 489
  주와 동행   490 - 504
  주를 본받음   505 - 508
  제자의 길   509 - 522
  성도의 교제   523 - 527
  신유   528 - 530
  소망   531 - 545
 
  송영과 영창   송영과 영창   546 - 558
  
어제 어떤 분 블로그에 들어갔다가 무지무진장 슬픈 글을 봤다.
 
엄청나게, 열심히 기독교관련자료를 모으셨고, 올려놓으셨다. 좋은 자료도 참 많아서 좋았었는데...
 
찬송가 전곡듣기가 있길래 클릭해보았다. 그런데 글쎄, 한국찬송가공회에서 찬송가에 관련된 저작
 
권이 자기네들한테 있다며 사용하고 싶으면 돈을 내라고 네이버쪽지가 왔다고 한다.
 
이게 말이 되는가?
 
도대체 왜 저작권이 그들에게 있단 말인가? 저작권이라고 하면, 그 자료를 제작한 사람한테
 
작권이 주어지는게 아닌가? 내가 잘못알고 있는 건가?
 
찬송가를 지으신 분들은 이미 돌아가신지 오래이다. 뭐, 법이 지정해 놓은게 있지도 모르겠
 
지만 (죽은지 몇년까지 뭐 이런거) 아무튼, 거의 대부분의 분들의 작품은 저작권법이 걸리지
 
않을텐데... 설령, 걸린다고 하더라도 그분들이 돈을 받고 찬송가를 보급하는 것을 원하실까?
 
그분들은 자기들의 신앙고백을 시로써, 노래로써 표현하신 것일텐데...
 
그분들께서 원하시는 것은 오직 하나, 하나님께서 영광받으시는 것일 것이다.
 
그런데!!!
 
왜 찬송가공회, 자기네들이 돈을 받느냔 말이다.
 
무료로 찬송가를 보급하고, 복음성가, CCM을 보급해도 모자랄 형편에 (물론 CCM 가수분들의 경
 
우 음반같은 것은 팔아야겠지만, 그래야 돈을 벌고 먹고 살지) 돈을 받는다니!!
 
세상사람들이 모두 한다고 하더라도 그리스도인들은 하지 말아야 할 것이 있는 것인데...
 
그렇게 돈이 좋은가??
 
복음과 관련된, 주님을 위한 일을 하면서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이런 식의 말을 하는 사람들,
 
정말이지 이해가 안된다.
 
예수님을 머리로 믿는단 말인가? 머리로 이해하고 마음으로 믿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믿게 되면
 
자연스레 머리로도 이해가 되는 것이거늘...
 
어찌 "이성적으로 생각한 뒤" 라는 그럴듯한 수식어구를 갖다 붙인단 말인가!!
 
주님께서 시키는 일, 그것이 도저히 머리로 이해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지켜야 한다.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 (사도행전 1:8)" 라고 말씀하신 주님의 명령따라, 우리는 세상
 
끝날까지 복음을 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왜 찬송가에 돈을 받냐고!!
 
생각할수록 열받네...
 
주여!! 이들을 불쌍히 여기소서!!  저들이 하는 일을 알지못하나이다.
출처 : 시골길
글쓴이 : 시골길 원글보기
메모 :
 
Niccolo Paganini
(1782-1840)
 
Violin Concerto No. 2 in B minor
  ("La campanella"), Op. 7, M.S.48
III. Rondo

파가니니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3악장
<라 캄파넬라>
 
 
      파가니니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제3악장

론도형식으로서 D장조의 제2테마가 나타나 종소리를 묘사한다. 이곡은 특히 마지막 악장에서 리토르넬로가 나올때마다 그 앞에 종(캄파넬로)이 울리는 것으로 유명한데, 종의 맑은 울림이 바이올린 4번 현의 올림바(F#)에 녹아 들어가는 느낌을 준다 리스트는 이 제3악장을 '라 캄파넬라'라는 곡으로 편곡하여 이 론도악장의 인기를 더해주었다. 이 두 협주곡에는 기법의 진수라 할만한 것들이 모두 들어있어 다른 협주곡들에 나타나는 그것을 능가하고 있다. 또 카프리치오와 더불어 왼손 및 오른손을 위한 바이올린 기법의 고급교본으로도 이용된다.

 리스트 / 라 캄파넬라(La campanella) G# 단조

파가니니(이탈리아의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의 바이올린 협주곡 2번의 마지막 악장을 기초로 하고 있다. 종(라 캄파넬라)의 주제와 변주곡으로 뛰어난 기교를 통해 훌륭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 이 제목은 1983년 출판될 때 이미 붙여졌다.
라 캄파넬라’의 뜻은 종소리란 뜻입니다. 이 곡을 들어보면 신기하게도 피아노에서 정말 종소리가 납니다.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의 테마를 리스트가 편곡한 것으로, 원 곡보다 대중적으로 더 알려져 있는 곡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딸랑거리는 종소리를 묘사 하기 위한 피아노의 맑은 트레몰로가 인상적입니다. 리스트는 작곡자이자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 파가니니의 훌륭한 연주를 듣고서 ‘나는 피아노의 파가니니가 되어야지’라고 결심했답니다.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곡은 아주 어렵고 화려하기로 유명합니다. 리스트의 피아노 곡 역시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곡처럼 화려하고 아주 어렵죠.
라 캄파넬라는 ‘파가니니 대연습곡’이라고 묶인 6개의 피아노의 곡 중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피아노 곡입니다.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곡도 유명하지만 파가니니의 곡을 피아노 곡을로 변형한 리스트의 라 캄파넬라의 곡이 더 잘 만들어 졌다는 말을 들을 정도로 편곡치고는 완벽합니다.

 
 
Salvatore Accardo
 
 
 

 

 

 
Yang Sung Sic
 
 
For Violin and Guitar
 La Campanella
 
Georges Cziffra
 
 
Franz Liszt(1811-1886)
 
Paganini Etudes (6), for piano
No 3. La Campanella 
 
Jorge Bolet
 
 
Franz Liszt(1811-1886)
 
Paganini Etudes (6), for piano
No 3. La Campanella 
 
Yundi Li
 
 
Franz Liszt(1811-1886)
 
Paganini Etudes (6), for piano
No 3. La Campanella 
임동혁 
 
Franz Liszt(1811-1886)
 
Paganini Etudes (6), for piano
No 3. La Campanella 
Tim Hardin Trio
 
JAZZ Version
 
 
출처 : 산너머의 성공예감
글쓴이 : 산너머 원글보기
메모 :

 

 

 

 

 

 

 

 

 

 

 

 

 

 

 

 

Franz Liszt

 

Hungarian Rhapsody No.2

in C sharp minor

 

 

 

 

S. 359-2

 

 

 

 

 
 
 
 
 
출처 : 블로그 > 비둘기의 집 |
글쓴이
: 비둘기 [원문보기]
출처 : 비둘기의 집
글쓴이 : 비둘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