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ghiera

토스티 / 기도

Tosti Francesco Paolo, 1846 ~1916


테너

Alla mente confusa di dubbio e di dolore soccorri,
괴로움과 서러움에 가득찬 내 마음의 이 괴로움을 구원해주소서,
o mio Signore, Col raggio dell fe solleval!!!!a dal peso
오 나의 주님, 믿음의 빛으로 짐을 덜어주소서
che la declina al fango:
A te sospiro e piango,
보소서. 그것은 나를 진흙탕속으로 빠져들게 하나이다:
당신에게 나는 한숨지으며 울부짖습니다,
mi raccomando a te.
나를 당신께 맡깁니다.
Sai che la vita mia si strugge a poco a poco,
당신은 나의 삶이 조금씩 조금씩 투쟁한다는 것을 아십니다,
come la cera al foco, come la neve al sol.
불길 위에 밀랍처럼, 양지 위에 눈송이처럼.
All'anima che anela di ricovrarti in braccio, deh!
당신의 품안에서 피난처를 구하며 헐떡이고 있는 이 영혼에게, 아!
rompi, Signore, il laccio che le impedesce il vol.
주여 끊어주소서, 그 비행을 방해하는 줄들을
Signor, pieta! Signor, pieta! Signor, pieta!
주여, 긍흘을! 주여, 자비를! 주여, 은혜를!

토스티 (Tosti, Francesco Paolo, 1846.4.9~1916.12.2)

토스티는 1846년 4월 9일 아브룻치의 오르트나 스루마네에서 태어났다. 양친은 상인인데, 아버지는 돈 주제페, 어머니는 카테리나이다. 처음에는 고향에서 바이올린을 배웠다. 그러나 11세 때, 왕실 등의 추천을 받아 나폴리의 산 피에트로 마이에라 왕립 음악원에 입학했다. 바이올린을 핀트, 작곡을 콘티와 메르카단테에게 배워 1866년 졸업했다. 곧바로 그 학교의 조교수가 되지만 건강을 이유로 고향에 돌아와 작곡에 전념하였다.

그때 로마의 성악 교사에게서 작품을 인정받아 사보이의 공녀 마르게리타의 성악교사로 초빙되었다. 1875년 런던에서 성공을 거둔 후 1880년 빅토리아 여왕아래에 있는 영국왕실 음악교사로서 정식으로 런던에 부임했고, 또 음악출판사 챠페르와 계약을 맺고 많은 작품을 발표하였다. 1888년 런던에서 베르타 피앙소와 결혼, 1894년부터 왕립 음악원의 성악교수로 근무했다. 1908년 에드워드 7세로부터 남작 칭호를 받고 1913년에 런던을 떠나 이탈리아로 돌아왔다. 1916년 12월 2일 로마에서 7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토스티는 성악 교사였기 때문에 그의 작품은 가곡이 많고, 이탈리아, 영국, 프랑스어에 의한 아름다운 선율을 남겼다. 당시 이탈리아는 오페라의 전성시대로 작곡이라면 오페라와 동의어였을 정도의 시대였으나 그는 유일하게 이탈리아의 근대 가곡의 창조에 힘을 기울였던 것이다. 그때까지 이탈리아에서는 가곡은 육성되지 않았고 민요만 있었던 당시였기 때문에 아름다운 선율을 예술 가곡의 수준에 까지 이르게 했던 공적은 대단히 크다. 그 유려한 선율에 대응하는 유연하며 펑명(平明)한 하모니, 서정시의 정감을 그대로 불러내는 듯한 적절한 표현은 현대에 있어서도, 대단한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토스티의 가곡은 한마디로 감미(甘美)라는 단어로 말해질 수 있으리라. 이탈리아적 선율의 흐름을 가진 부르기 쉬운 깨끗한 곡을 많이 작곡하였으며 대표작에 《그럼, 안녕》 《4월》 《세레나데》 《이상》 《꿈》 등이 있다.

토스티의 가곡들

선율의 아름다움으로 노래하는 사람이나 듣는이를 매료시키는 토스티의 가곡은 그 어느 작곡가의 작품보다도 통속성이 높기로도 유명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토스티의 가곡은 형식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움이 큰 매력이다. 태어나기는 <올토나> 이지만 오랜 세월 나폴리에서 지냈던 것이 그의 작품의 성격을 이처럼 친화력 강한 개성으로 만들었으리라.

토스티의 시어(詩語)와 선율은 너무나 이상적인 조화를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그의 가곡이 가창적(歌唱的)이라는 평가를 받는 것이다. 특히 그가 구사하는 이탈리아 시어의 쓰임새는 아름답기로 정평이 내려져 있다. 스테파노가 노래하는 토스티의 가곡은 원작이 갖고 있는 이러한 매력에 그의 힘있는 미성과 절묘한 칸틸레나가 어우러지는 기막힌 벨 칸토의 세계를 연출한다.

출처: 웹사이트 / 음원출처: http://jnjmuse.cnei.or.kr

출처 : 어둠 속에 갇힌 불꽃
글쓴이 : 비에 원글보기
메모 :

 

피아노 - 프리드리히 굴다

클라우디오 아바도 &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사막의 해적 원글보기
메모 :

 

피아노 & 지휘 - 프리드리히 굴다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클라라 하스킬 - http://cafe.daum.net/arthill/3Qkc/6720

아르트로 베네디티 미켈란젤리 - http://cafe.daum.net/arthill/3Qkc/6855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사막의 해적 원글보기
메모 :
누구 없소/Arr.조우현 Vocal/노윤정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Mousike 원글보기
메모 :

 

     
    흑인영가 - Swing low, sweet chariot
    
    Swing low, sweet chariot, Coming for to carry me home
    Swing low, sweet chariot Coming for to carry me home
    멋진 수레가 천천히 나아가네 나를 고향 집으로 데려가네
    멋진 수레가 천천히 나아가네 나를 고향 집으로 데려가네
    I looked over Jordan, what do I see Coming for to carry me home
    A band of angels coming after me Coming for to carry me home
    요단강 너머로 내가 보고있네 나를 고향 집으로 데려가네
    내 뒤에는 천사들이 오고있네 나를 고향 집으로 데려가네
    If you get there before I do, Comin' for to carry me home
    Just tell my friends that I'm a comin' too. Comin' for to carry me home
    나보다 그대가 먼저 거기 가면 나를 고향 집으로 데려가네
    나도 곧 간다고 친구들에게 전해주게 나를 고향 집으로 데려가네
    I'm sometimes up and sometimes down, Comin' for to carry me home
    But still my soul feels heavenly bound. Comin' for to carry me home
    기쁠 때도 있고 슬플 때도 있지만 나를 고향 집으로 데려가네
    내 영혼은 언제나 천국에 있네 나를 고향 집으로 데려가네
    
출처 : 시어머니와며느리
글쓴이 : 표준언니 원글보기
메모 :

 
한 계 령 저 산은 내게 우지마라 우지마라 하고 발 아래 젖은 계곡 첩첩 산중 저 산은 내게 잊으라 잊어버리라 하고 내 가슴을 쓸어 내리네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가고파 이산 저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 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라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아~ 그러나 한 줄기 바람처럼 살다가고파 이산 저산 눈물 구름 몰고 다니는 떠도는 바람처럼 저 산은 내게 내려가라 내려가라 하네 지친 내 어깨를 떠미네


한계령 - 배재코랄
한계령 - 양희은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풀처럼 원글보기
메모 :

 

 

 

- 겨울 산길에서



이해인 시
l 정애련 곡


추억의 껍질 흩어진 겨울 산길에
촘촘히 들어앉은 은빛 바람이
피리 불고 있었네
새 소리 묻은 솔잎 향기 사이로
수없이 듣고 싶은 그대의 음성
얼굴은 아직 보이지 않았네
시린 두 손으로 햇볕을 끌어내려
새 봄의 속옷을 짜는
겨울의 지혜
찢어진 나목(裸木)의 가슴 한켠을
살짝 엿보다
무심코 잃어버린
오래 전의 나를 찾았네

 

 - 겨울 산길에서. 이해인 시ㅣ정애련 곡ㅣ소프라노 전세인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zoomlove 원글보기
메모 :

 

 

 

 

         그림: 이수동

 

 


달빛 / 조흔파 작시/ 김용연 작곡 / Tenor  박인수

 


유리창에 부서지는 달빛이 하도 고와
한자락 끊어내어 그대에게 보내오니
내게로 오시는 길 어둡거든 밝히시고
임이여 나 본 듯이 친구삼아 오소서

 



그림: 이수동

 

 

나뭇잎에 반짝이는 달빛이 너무 고와
한조각 오려내어 그대에게 보내오니
서둘러 오시는 길 아득히 멀거들랑
임이여 바람결에 소식 먼저 보내소서

 

 

 

 

 

 

출처 : 아트힐
글쓴이 : 에반제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