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상화
이성선
산은 제 초상화를 강에게 맡겼다. 강은 그의 얼굴을 구겼다 폈다 지웠다 그렸다 진종일 그냥 두지 않고 괴롭혔다. 아침에는 맑게 씻어 가라앉은 마음 안에 두고 저녁에는 갑자기 황혼밭에 홀로 벌거숭이로 내쫓았다. 강은 그러나 산을 버리지 않았다. 더구나 비싼 값으로 거리에 내다 팔지 않았다. 언제나 가슴속에 들여놓고 가장 외로운 시간 눈물겨운 밤이면 그의 높은 봉우리 끝에 제 마음 깊은 곳과 맞대고 조용히 울었다.
강은 비웃었다. 눈 먼 세상을. 그리고 아직 기다린다. 언젠가 물 속 산 음악 들으러 찾아올 현자賢者를.
이성선 시집『벌레 시인』, 《고려원 ●1994년》에서 이성선 시인의 시 「초상화」를 읽다 보면 동심과 어른의 마음을 오고 가는 오작교 같은 길이 하나 놓여 있다. 그 길이 강물이다. 산이 제 초상화를 강이 그리게 맡겨 놓고 강이 그리는 초상화를 바라만 보고 있다. 세상 바람이 심술궂게 불고 지나가면 찡그린 얼굴을 하고, 고요한 밤이면 가장 깊은 마음을 서로 맞대고 울고 있다고 말한다.
이 얼마나 아름다운 관계인가. 그림을 그려도 시장에 내다 팔지 않고 제 가슴 깊이 간직하고 있다. 사람의 마음속에도 누군가의 마음의 초상화 하나씩 그려져 있을 것이다. 항상 곁에 있는 사람일 수도 있고 다시는 알굴을 볼 수 없는 그런 사람일 수도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나를 끝까지 버리지 않고 가슴속으로 진정한 모습을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가장 훌륭한 화가는 그 사람의 마음을 그리는 화가라 한다. 겉모습이야 수많은 색으로 감출 수 있지만 내면의 마음속에 있는 진실은 세월이 가면 산의 나무들처럼 헐벗기도 하고 안개에 싸여 사라지기도 하고 황혼의 빛에 스며들어 아름다움의 극치를 보여줄 때가 있다. 이 변화무쌍한 일을 솔직하게 보여주는 그림이 어디에 있겠는가.
이성선 시인은 언제가 찾아올 현자賢者를 기다리며 산의 아름다운 모습을 항상 제 가슴 깊이 그려 간직하고 있다고 바라본다. 산이 강에게 제 모습을 그리라 말한 이유가 아름다운 모습을 보고 현자가 찾아오게 제 마음을 다 내어주고 있다는 것이다. 어느 것이 산이고 강인지 구분되지 않는 그려놓고 현자를 부르고 있기에 눈먼 세상이라 말했을 것이다. | ![]() |
'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山茶/이성선 (0) | 2019.11.23 |
---|---|
미시령 노을 /이성선 (0) | 2019.11.23 |
물소리/조정권 (0) | 2019.11.23 |
조정권 (0) | 2019.11.23 |
보림사, 얼굴 없는 부처 / 이대흠 (0) | 2019.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