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의법]

하나의 말을 가지고서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두 가지 의미란 단어가 지니고 있는 파생적인 의미나 유사성이 아니라, 전혀 다른 개념과 뜻을 재치있게 함께 지니고 있는 것을 말한다.

(예)

수양산 바라보며 이제를 한하노라.
주려 죽을진들 채미도 하난 것가.
비록애 푸새엣것인들 긔 뉘 따해 났다니.<성삼문>


'수양산'은 중국의 '수양산'과 조선 시대 '수양 대군'을 뜻하고, '채미'와 '푸새엣 것'은 '고사리'와 '수양대군의 녹'을 뜻한다.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우니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황진이>

벽계수는 자연인 '푸른 시냇물'과 '왕족 벽계수를' , '명월'은 자연인 '밝은 달'과 '기생 황진이'를 의미한다.

[상징빕]

원관념은 겉으로 나타나지 않아 암시에만 그치고 보조 관념만이 글에 나타난다. 이는 은유법과 비슷하지만 원관념이 직접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다르다. 그러나 원관념이 나타나 있지 않아도 그 표현만으로써 원관념을 짐작할 수 있다면 그것은 은유법이다.

(예)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산 너머서 어둠을 살라 먹고, 산 너머서···<박두진의 '해'에서>

이 시에서 '해', '어둠' 등은 상징법이다.

*참고...상징의 종류

1.관습적 상징(고정적 사회적 제도적 상징)-일정한 세월을 두고 사회적 관습에 의해 공인되고 널리 보편화된 상징

십자가 → 기독교, 비둘기 → 평화

2.개인적 상징(창조적 문화적 상징) - 관습적 상징을 시인의 독창적 의미로 변용시켜 문화적 효과를 얻는 상징

윤동주의『십자가』에서 십자가의 의미→윤동주 자신의 희생 정신을 나타냄.

3.자연적 상징 : 자연물이 인간에게 주는 보편적 의미의 상징

해→희망, 밤→절망

4.우의적 상징 : 풍자적 우희적 통로로 상징하는 것

빼앗긴 들→일제 치하의 조국

5.기호적 상징 : 약속에 의해 정해진 것

숫자, 문자, 부호, 신호

6.원형적 상징 : 시대와 공간에 관계없이 신화 이후에 문화에 빈번하게 되풀이 되어 나타나는 상징

날개에서의 『방』→단군 신화에 나오는 『동굴』의 원형 상징.

*참고....상징과 은유

은유는 두 대상간의 유사성을 통한 유추적 결합을 추구하는 데 반하여 상징은 상관성이 먼 상징어를 연결함으로써 의미가 확대, 심화되는 언어 사용의 방법이다.


[우화법]

원관념은 나타나지 않고, 보조 관념만으로써 뜻을 암시한다는 점에서는 풍유법과 같다. 그러나 풍유법은 반드시 동물이나 식물이나 식물이 등장하지 않고 사람이 주인공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우화법은 비인격적인 것이 모두 인격화되어 나타난다. 동물이나 식물의 속성과 풍습으로써 인간의 속성과 풍습을 암시하는 방법 등이다. 이솝 우화가 그 대표적인 것이다.

[과장법]

사물의 수량, 상태, 성질 또는 글의 내용을 실제보다 더 늘리거나 줄여서 표현하는 방법이다. "눈이 빠지도록 기다리고 있었다." 등의 표현이 과장에 해당하는데, 때로는 "눈물의 홍수"에서처럼 은유와 함께 나타내기도 한다. 과장법은 시적 감정의 진실성을 나타내는 데 효과적이다. 실제보다 더 크고 강하게 나타내는 것을 '향대 과장(向大誇張)'이라고 하고, 더 작고 약하게 나타내는 것을 '향소 과장(向小誇張)'이라고 한다.

(예)

1. 쥐꼬리만한 월급 봉투 - 향소과장

2. 모란이 지고 말면 그뿐, 내 한 해는 다 가고 말아 삼백 예순 날 하냥 섭섭해 우옵내다. - 향대과장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에서>

출처 : 짓거리시인의 시세상
글쓴이 : 짓거리 시인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