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계국과 나비  (0) 2022.06.27
들에 꽃이 없네  (0) 2022.06.27
변절자일까???  (0) 2022.06.27
시인 김지하는 글씨와 그림도 특별했다.  (0) 2022.06.27
분홍애기낮달맞이꽃  (0) 2022.06.26

 

"미대 원했던 김지하, 마지막 그림은 집 뒤뜰의 모란꽃"

김정연 입력 2022. 06. 27. 00:03 수정 2022. 06. 27. 06:21 댓글 5
번역 설정
공유
글씨크기 조절하기
인쇄하기 새창열림
고 김지하 시인은 1980년 출소한 뒤 난초로 시작해 매화, 달마, 모란으로 옮겨가며 그렸다. 집안의 반대로 미술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시인은 미대 옆 미학과를 선택했다고 한다. 사진은 〈모란꽃〉(2014). [사진 유홍준 이사장]

시인 김지하는 글씨와 그림도 특별했다. 1980년 출소 직후 난초를 그리기 시작한 시인은 이후 매화, 달마, 모란으로 옮겨갔다. 유홍준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은 “김지하의 그림은 단순한 먹장난이 아니었다. 김지하가 유명해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예술성이 있는 그림”이라며 “후기에 그린 수묵산수화도 정말 아름답고, 추상 미술로 나아가는 경지”라고 평가했다. 또 “김지하의 글씨는 강약의 변화가 있고, 한 글씨 안에서도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최고의 글씨, 추사 김정희의 영향이 아주 강하게 묻어난다”고 설명했다.

시인은 1991년께 만취 상태에서 서울 인사동 술집 ‘평화만들기’ 벽지에 평소 좋아하던 이용악의 시 ‘그리움’ 전문을 적었다. 유 이사장은 “카페가 폐업한 뒤 시가 적힌 벽지를 누군가 뜯었고,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2년 전 서예박물관을 구상 중인 사람이 1000만원에 낙찰받았으니, 영원히 보존될 것 같다”고 전했다.

고 김지하 시인은 1980년 출소한 뒤 난초로 시작해 매화, 달마, 모란으로 옮겨가며 그렸다. 집안의 반대로 미술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시인은 미대 옆 미학과를 선택했다고 한다. 사진은 〈수묵산수: 갑오리〉(2014). [사진 유홍준 이사장]

유 이사장에 따르면, 시인의 초기 난초는 아리따운 춘란 형태였다. “‘난을 칠 때 세 번 굽어가는 것이 좋다’는 추사의 말을 따르기라도 한 것처럼 세 번 굽는 리듬을 준 것을 볼 수 있다”며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해 난을 그렸고, 작품들은 수많은 기부 모금전에서 팔려 민주화 운동에 도움이 됐다”고 전했다. 김지하는 똑바로 선 ‘정난’은 친 적이 없었다고 한다. 대신 늘 바람에 흩날리는 난을 그렸다.

고 김지하 시인은 1980년 출소한 뒤 난초로 시작해 매화, 달마, 모란으로 옮겨가며 그렸다. 집안의 반대로 미술대학에 진학하지 못한 시인은 미대 옆 미학과를 선택했다고 한다. 사진은 〈달마와 매화〉(2004). [사진 유홍준 이사장]

2003년 이후 매화가 등장한다. 유 이사장은 “시인은 ‘난초는 선비문화에서 난 거라, 나한테 본래 맞지 않고 감정이 실리지 않는데 매화는 기굴한 줄기에 가녀린 꽃이 핀 형상이라 감정이 잘 표현된다’고 했다”고 전했다. 시인이 동학을 공부하면서, 2004년 이후 달마가 등장한다. 유 이사장은 “동학, 천도교가 시각적 이미지가 없어 민중에 퍼져나가기 어려운 종교인데, 시인은 ‘인식의 바탕은 불교의 망막으로, 실천은 동학의 눈으로 한다’며 코믹한 생김새의 달마를 그렸다”고 설명했다.

유 이사장은 “시인의 마지막 그림은 목단(모란꽃)이었다”고 소개했다. “미술대학에 가고 싶어했는데, 집에서 반대하는 바람에 어깨너머로라도 그림을 배우자는 생각에 미대 옆 미학과를 선택했다”며 “집에서 그림을 못 그리게 손을 묶으면 발가락으로 숯을 집어서라도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그렇게까지 그리고 싶었던 대상이 집 뒤뜰의 목단꽃이었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김정연 기자 kim.jeongyeon@joongang.co.kr

Copyrightⓒ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jqkim17분전

일제시대였으면 어느쪽에 붙어 변절할지 딱 각 나오지유?

답글 작성댓글 찬성하기1댓글 비추천하기0
  • 시베리안1시간전

    그림에도 글씨에도 영혼이 없네, 그냥 독학으로 생겨난 붓놀림의 기교만 있다. 세상엔 재주있는 자들이 더 나쁜 것이다. 언변과 재주팔아서 세상의 대변인인냥 떠들며 인기와 숭배에 취해살고, 명성으로 평생 호의호식 대접받고 도둑질 하다가 인민들, 뒷통수 치고 변절하고 가는 것이지. 도둑의 삶 답다.

    답글 작성댓글 찬성하기2댓글 비추천하기2
  • Qwert1시간전

    영원히 변절자로 기억될겁니다

    답글 작성댓글 찬성하기3댓글 비추천하기2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에 꽃이 없네  (0) 2022.06.27
나비  (0) 2022.06.27
시인 김지하는 글씨와 그림도 특별했다.  (0) 2022.06.27
분홍애기낮달맞이꽃  (0) 2022.06.26
제비와 창공  (0) 2022.06.26

"동양화 중 이런 경지 처음"극찬…미대 원했던 김지하 마지막 그림

중앙일보

입력 2022.06.26 13:59

업데이트 2022.06.26 17:30

업데이트 정보 더보기

김지하 시인의 2014년 수묵산수화. 유홍준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은 "김지하는 시를 너무 잘 써서 그림과 글씨가 저평가된 사람"이라며 "후기의 수묵산수화는 추상 미술의 경지인데, 현대 한국화가 중 이런 경지는 잘 보지 못했다"고 극찬했다. [사진 유홍준 이사장 제공, 개인소장]

시인 김지하는 글씨와 그림도 특별했다. 1980년 출소 이후부터 난초를 그리기 시작한 시인은 이후 매화, 달마, 모란으로 옮겨갔다. 유홍준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은 “김지하의 그림은 단순한 먹장난이 아니었다”며 “김지하가 유명해서가 아니라, 그 자체로 예술성이 있는 그림”이라고 시인의 그림을 평가했다.

또 “후기에 그린 수묵산수화도 정말 아름답고, 추상 미술로 나아가는 경지”라며 “현대 동양 한국화가 중에 이런 경지는 못 봤고, 추사 김정희는 글씨를 잘 써서 그가 시의 대가라는 걸 잊었다고 하는데 지하는 시를 잘 써서 그가 그림을 잘 그렸다는 게 과소평가됐다”고 극찬했다.

취기에 인사동 카페 벽지에 쓴 시… 뜯어 보관한 도배지는 1000만원 낙찰

김지하가 자필로 쓴 '황톳길' 원고의 일부. [사진 유홍준 이사장 제공, 개인소장]

유홍준 이사장은 "김지하 시인의 글씨는 강약의 변화가 있고, 한 글씨 안에서도 변화하는 글씨"라고 설명했다. 추사 김정희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 같다고 해석했다. [사진 유홍준 이사장 제공, 개인소장]

유 이사장은 시인의 글씨와 추사 김정희 글씨의 유사점도 짚었다. “글씨는 그 사람의 인격인데, 김지하의 글씨는 아주 예쁘고 힘 있는 글씨”라며 “강약의 변화가 있고 한 글씨 안에서도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최고의 글씨, 추사 김정희의 영향이 아주 강하게 묻어난다”고 설명했다.

시인은 1991년께 만취한 상태에서 인사동 술집 ‘평화만들기' 벽지에 평소 좋아하는 이용악의 시 '그리움' 전문을 적었다고 한다. 유 이사장은 “만취해 머릿속에 있는 걸 그대로 내려썼는데, 어떤 꾸밈도 없는 글씨체에서 기백을 느낄 수 있다”며 “카페가 폐업한 뒤 이 시가 적힌 벽지를 누군가가 뜯어 여러 곳을 전전하다가 2년 전 서울옥션에서 서예박물관을 구상 중인 사람이 1000만원에 낙찰받았으니, 영원히 보존될 것 같다”고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유홍준에 "'하로동선'쓰고 '너 나중에 크게 될 거다'"한 시인

유홍준 이사장은 시인이 자신에게 '여름 화로와 겨울 부채'라는 화제를 써줬다며 "아무 짝에도 쓸모없다는 뜻의 문구를 써줬기에 까닭을 물었더니, '여름 화로도 겨울엔 쓸모가 있고 겨울 부채도 여름엔 쓸모가 있다. 너는 나중에 크게 될 거다'라고 말했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사진 유홍준 이사장 제공, 개인소장]

유 이사장에 따르면, 시인의 초창기 난초는 아리따운 춘란의 형태였다. “‘난을 칠 때 세 번 굽어가는 것이 좋다’는 추사의 말을 따르기라도 한 것처럼 세 번 굽는 리듬을 준 것을 볼 수 있다”며 “이때까지만 해도 좋아하는 사람들을 위해 난을 그렸고, 이 작품들은 수많은 기부 모금전에서 팔리며 민주화 운동에 도움이 됐다”고 전했다.

시인은 난을 받는 사람에게 딱 맞는 화제(畵題)를 써서 전했다. 유 이사장은 “내가 본 것 중 가장 멋진 화제는 채희완(민족미학연구소장) 선생에게 준 ‘털 빠진 꿩이 하늘로 훨훨 날아가듯이’였다. 임진택 명창에게는 ‘기축이 흔들린 후 지구가 돌아가는 소리를 다 담아내라’고 썼다”고 설명했다. 그는 “내게는 ‘하로동선(夏爐冬扇)’, 여름 화로에 겨울 부채라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사물을 지칭하는 문구를 써줬길래 지하형한테 한소리 했더니, ‘여름 화로도 겨울이 되면 쓸모가 있고, 겨울 부채도 여름이면 쓸모가 있다. 너는 나중에 크게 될 거다’라고 했는데 그래서 내가 지금 이렇게 크게 됐나 싶다”며 농을 덧붙였다.

바람에 흩날리는 난만 그리다 매화로…"난은 선비문화, 나와 맞지 않아"

김지하 시인은 똑바로 서있는 난은 그리지 않고, 바람에 흩날리거나 요동치는 난을 그렸다. 후기로 갈수록 더 필치가 거칠어진다. [사진 유홍준 이사장 제공, 개인 소장]

김지하는 똑바로 선 ‘정난’은 친 적이 없었다고 한다. 대신 늘 기우뚱하게 바람에 흩날리는 난을 그렸다. 유 이사장은 “김지하 난의 획은 오묘하고 가녀리고 심지어 에로틱하게 뻗어 나간다. 본인은 ‘묘연(妙延)’이라고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묘하게 뻗어 나간다는 뜻이다.

2003년 이후 매화가 등장한다. 유 이사장은 “시인은 ‘난초는 선비 문화에서 난 거라, 나한테 본래 맞지 않고 감정이 실리지 않는데 매화는 기굴한 줄기에 가녀린 꽃이 핀 형상이라 감정이 잘 표현된다’고 했다”고 전했다.

미대 가고 싶었던 어린 김지하, 마지막 그린 그림도 뒤뜰 목단 

김지하 시인은 말년엔 해학적인 모습의 달마를 그렸다. 오른쪽은 2014년에 그린 달마 형상의 자화상이다. 실제 시인의 모습처럼 진한 눈썹을 하고 있다. 유홍준 이사장이 “눈썹만 크네요”라고 평했더니, 시인은 “어떤 관상쟁이가 내가 눈썹이 잘생겨서 이만큼 먹고 살았다고 하더라”고 답했다고 한다. [사진 유홍준 이사장 제공, 개인소장]

시인이 동학을 공부하기 시작하며, 2004년 이후 달마가 등장한다. 유 이사장은 “동학, 천도교가 시각적 이미지가 없어 민중에 퍼져나가기 어려운 종교인데, 시인은 ‘인식의 바탕은 불교의 망막으로, 실천은 동학의 눈으로 한다’고 하며 코믹한 생김새의 달마를 그렸다”고 설명했다.

김지하 시인의 마지막 그림들은 목단이었다. 그가 어린 시절 미대가 가고 싶어했던 소년이었을 때 가장 그리고 싶었던 대상이 집 뒤뜰의 목단이었다고 한다. 시인의 마지막 그림도 그 목단이다. [사진 유홍준 이사장 제공, 개인소장]

유 이사장은 "시인의 마지막 그림은 목단(모란꽃)이었다"고 소개했다. “그림을 그려 미대에 가고 싶어했는데, 집에서 반대하는 바람에 어깨너머로라도 그림을 배우자는 생각에 미대 옆 미학과를 선택했다”며 “집에서 그림을 못 그리게 손을 묶으면 발가락으로 숯을 집어서라도 그림을 그렸다고 했는데, 그렇게까지 하면서 그리고 싶었던 대상이 집 뒤뜰에 있는 목단꽃이었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비  (0) 2022.06.27
변절자일까???  (0) 2022.06.27
분홍애기낮달맞이꽃  (0) 2022.06.26
제비와 창공  (0) 2022.06.26
금박 화조도  (0) 2022.06.26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절자일까???  (0) 2022.06.27
시인 김지하는 글씨와 그림도 특별했다.  (0) 2022.06.27
제비와 창공  (0) 2022.06.26
금박 화조도  (0) 2022.06.26
당화혈색소  (0) 2022.06.25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인 김지하는 글씨와 그림도 특별했다.  (0) 2022.06.27
분홍애기낮달맞이꽃  (0) 2022.06.26
금박 화조도  (0) 2022.06.26
당화혈색소  (0) 2022.06.25
차이나타운  (0) 2022.06.25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홍애기낮달맞이꽃  (0) 2022.06.26
제비와 창공  (0) 2022.06.26
당화혈색소  (0) 2022.06.25
차이나타운  (0) 2022.06.25
물김치  (0) 2022.06.25

올 건강검진에서 당 수치가 100이 넘었다.

4월 말 많은 비용을 들여 위장과 대장 내시경, 경동맥초음파, 골다공증 등등 체크를 했는데 콜레스테롤이 비교적 높게 나오고 당 수치도  안 좋았다.

 

아버지가 평생 술을 좋아하셔서 당뇨가 왔고 

결국은 췌장염으로 돌아가셨다.

 

어제 가까운 병원에 가서 당체크를 했더니 125mg이 나왔다.

전날 감자와 우유를 많이 먹고 잤는데, 밥은 안 먹었는데...

 

의사가 당화혈색소 검사를 하자고 한다. 

3개월 동안 헤모글로빈 속에 있는 포도당 양을 평균하는 거라고 한다.

총 4분이 걸렸다.

5.1%가 나왔다.

그럼 정상이네

안심이다.

 

당화혈색소

HbA1c


관련 질환관련 인체관련 검사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임신성당뇨병, 당뇨망막병증, 당뇨병성 족부
적혈구, 혈액 순환
혈당 검사, 요당
  1.  
당화혈색소

.

 

정의

지난 2~3개월 동안의 혈당의 평균치를 평가하는 것으로 당화된 A1c형 혈색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혈중 포도당 수치가 높을 수록 더 많은 당화혈색소가 생성됩니다. 이 검사는 당뇨를 진단받은 사람에게 일정시간동안 혈당이 얼마나 잘 조절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다른 혈당 검사는 식이, 흡연, 커피, 운동 등 음식이나 환경으로 인해 혈당이 변하여 검사결과가 부정확할 수 있는데 비해 당화혈색소 검사는 최근의 운동이나 음식섭취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혈당 조절을 평가하는 유용한 기준으로 사용되는 검사입니다.
검사 시기는 최초로 당뇨를 진단받았을 때, 치료 도중에는 1년에 2~4회 이상 검사하게 되며, 당뇨로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 있을 경우 또한 검사하게 됩니다.

측정방법

측정방법

 

검사 전 준비사항은 없으며 팔의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검사를 시행합니다.

정상범위

▶ 정상범위는 4.0~6.0% 입니다.
▶ 당화혈색소 수치가 6.5% 이상이면 당뇨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 혈액검사의 정상 범위는 성별, 나이, 임신 여부, 검사를 시행하는 기관, 검사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검사를 시행하는 병원이나 검사실에서 제시하는 참고치를 사용하여 의료진과 결과를 상담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주의사항

빈혈, 용혈, 과다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당화혈색소 검사 결과가 낮을 수 있으며 철 결핍이거나 최근에 수혈을 받았다면 당화혈색소 수치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당화혈색소 검사는 혈당조절을 정확하게 반영하기는 힘들 수 있습니다.

건강 팁

▶ 당뇨 환자의 경우 당화혈색소를 6.5%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환자마다 기저질환, 합병증, 저혈당 위험 등이 다르기 때문에 의료진과 상담을 통해 본인에게 맞는 적절한 당뇨 조절 목표를 세워야 합니다.
▶ 당화혈색소 검사는 현재의 급격한 혈당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으므로 불안정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관찰되는 큰 폭의 포도당 농도 변화는 반영되지 않아 선택적으로 평가하여야 합니다.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비와 창공  (0) 2022.06.26
금박 화조도  (0) 2022.06.26
차이나타운  (0) 2022.06.25
물김치  (0) 2022.06.25
층간 소음  (0) 2022.06.25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박 화조도  (0) 2022.06.26
당화혈색소  (0) 2022.06.25
물김치  (0) 2022.06.25
층간 소음  (0) 2022.06.25
감자  (0) 2022.06.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