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머언 곳의 그리운 소식이기에
한밤 소리 없이 흩날리느뇨.


처마 끝에 호롱불 여위어 가며
서글픈 옛 자췬 양 흰 눈이 내려

하이얀 입김 절로 가슴이 메어
마음 허공에 등불을 켜고
내 홀로 밤 깊어 뜰에 내리면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
희미한 눈발
이는 어느 잃어진 추억의 조각이기에
싸늘한 추회追悔 이리 가쁘게 설레이느뇨.

한줄기 빛도 향기도 없이
호올로 차단한 의상을 하고
흰 눈은 내려 내려서 쌓여
내 슬픔 그 위에 고이 서리다.

                                              - 김광균, <설야>


---

  '그리운', '서글픈', '잃어진 추억', '싸늘한 추회' 등 도처에 애상적인 정조가 깔려 있다. 으레 눈 내리는 밤의 정경이 그러하다. 그리움, 그러나 돌아갈 수 없는 그 안타까움을 시인은 노래하고자 한 것. 그렇다면 이 시의 꽃은 역시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이 한 구절을 위해 이 시가 존재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정도다.

  그러나 현재 중등 교과서에실린 문학 작품 가운데 가장 도발적이고 관능적인 이미지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이 표현이 주는 매혹을 제대로 음미해 볼 여유도 없이 안타깝게도 주로 기법적인 측면에서만 공부를 하게 될 뿐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이 대목을 두고, 바로 '시각의 청각화', '공감각적 이미지' 등을 운위하는 것이다. 헌데 명색이 시 전공자인 나 자신도 도대체 그런 설명이 무엇을 뜻하는지 잘 모르겠다.

  상식적으로 생각해 보자. 먼 곳에서 여인의 옷 벗는 소리가 귀에 들리겠는가. 왈가닥 처녀 아이도 아니고 여인이, 그것도 옆방에서가 아니라 먼 곳에서 옷을 벗는데 그 소리가 들릴 수 있겠는가. 더구나 그 옷은 하늘하늘한 실크 잠옷이거나 곱고 단아한 한복이거나 어딘가 그런 이미지가 아니겠는가.

  그렇다. 아무래도 안 들린다. 김광균이 주목한 것은 바로 밤눈의 이러한 속성, 곧 '소리 없음', '고요함'이었던 것이다. 실제로 눈은 소리 없이 내릴 뿐 아니라 눈 내리는 밤은 평소보다 더 고요하기까지 하다. 이는 과학적으로도 설명이 가능한데, 눈의 입자가 육각형 흡음 구조라서 밤에 눈이 쌓이면 사위가 고요해진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우리 모두가 경험해 보았듯이 밤눈은 눈치도 못 채고 있다가 무심코 창밖을 보거나 방을 나서야 알 때가 많다. 그때의 감동과 설렘을 떠올려 보라. 어쩌면 이 시의 화자도 방 안에 있다가 눈을 맞이했고 그래서 뜰에 내려갔을지도 모른다. 소리 없이 흩날리는 눈이었으니 정녕 그는 눈 오는 줄 미처 몰랐으리라.

  하지만 소리가 나는 것은 청각적 이미지로 표현할 수 있겠으나 소리가 나지않는다는 것은 과연 어찌 표현할까? 시냇물이 '졸졸' 흐른다고 하는 것은 달리 어찌 표현하겠는가? 바로 이 지점에 '머언 곳에 여인의 옷 벗는 소리'라는 표현의 묘미가 숨어 있는 것이다.

  -------

- 정재찬 지음.   <시를 잊은 그대에게> 본문 중에서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버지의 나이 / 정호승  (0) 2022.03.02
슬픔이 없는 십오 초 / 심보선  (0) 2022.03.01
달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김용택  (0) 2022.02.27
껍데기는 가라/신동엽  (0) 2022.02.27
고비/ 정 호 승  (0) 2022.02.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