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海)에게서 소년(少年)에게

-육당 최남선-

 

1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때린다 부순다 무너버린다.

태산(泰山)같은 높은 뫼 집채 같은 바윗돌이나

요것이 무어야, 요게 무어야.

나의 큰 힘 아느냐 모르느냐 호통까지 하면서

때린다 부순다 무너버린다.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2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내게는 아무것 두려움 없어

육상(陸上)에서 아무런 힘과 권(權)을 부리던 자(者)라도

내 앞에 와서는 꼼짝 못하고

아무리 큰, 물건도 내게는 행세하지 못하네.

내게는 내게는 나의 앞에는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3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나에게 절하지 아니한 자(者)가

지금(只今)까지 있거든 통지하고 나서 보아라.

진시황(秦始皇) 나팔륜 너희들이냐.

누구 누구 누구냐, 너희 역시(亦是) 내게는 굽히도다.

나하고 겨룰 이 있건 오너라.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4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조고만 산(山)모를 의지(依支)하거나

좁쌀같은 작은 섬 손뼉만한 땅을 가지고

고 속에 있어서 영악한 체를

부르면서 나혼자 거룩하다 하는 자(者),

이리 좀 오나라, 나를 보아라.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5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나의 짝 될 이는 하나 있도다.

크고 길고 너르게 뒤덮은 바 저 푸른 하늘.

저것은 우리와 틀림이 없어

작은 시비(是非), 작은 쌈, 온갖 모든 더러운 것 없도다.

저따위 세상(世上)에 저 사람처럼,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6

처……ㄹ썩 처……ㄹ썩 척 쏴……아.

저 세상(世上) 저 사람 모두 미우나

그 중(中)에서 똑 하나 사랑하는 일이 있으니

담(膽) 크고 순진한 소년배(少年輩)들이

재롱(才弄)처럼 귀(貴)엽게 나의 품에 와서 안김이로다.

오너라 소년배(少年輩) 입맞춰 주마.

처……ㄹ썩 처……ㄹ썩 척 튜르릉 콱.

<소년, 1908. 11.>

 

이 작품은 바다와 소년이 담고 있는 상징적 의미를 통해 문명개화를 실현해야 할 주역들인 소년에 대한 믿음과 기대를 노래하고 있다.

이 작품의 특징은 ① 최초의 신체시로, 근대 시 형성에 기여함. ② 웅장하고 힘찬 남성적 어조를 사용함. ③ 직설적 표현을 구사함. ④ 의인법과 직유법, 반복법, 의성법의 표현 방식을 사용함.

시어 풀이

*출전 : “소년(少年)”(1908) *해(海)에게서 : 바다가. 바다에게서.

*권(權) : 권세(權勢). *통기 : 기별하여 알림. 통지.

*나팔륜 : 나폴레옹 *담 : 담력. 겁이 없고 용감한 기운.

                                                         

 

 

1908년 11월 한국 최초의 잡지 <소년>지 창간호에 최남선이 발표한 신체시이다.

신체시는 신문학 운동 초창기에 과거의 창가와 현대의 자유시 사이에 나타난 중간 단계의 새로운 시 형식으로, '신시‘라고도 한다.

4·4조나 7·5조, 또는 6·5조 등의 창가 형식을 깨뜨리고 완전한 자유시의 형태로 등장했다는 데에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

이 시는 서구와 일본의 선진 문화를 받아들여 힘 있고 활기에 찬 새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열망을 담은 작품이다.

전 6연으로 구성된 이 시에서 중요한 것은 ‘바다’와 ‘소년’의 이미지다. ‘바다’를 ‘나’ 또는 ‘우리’로 의인화하여 ‘소년’에 연결시킨 작가의 의도는 무한한 ‘힘’과 ‘새로움’을 창조하고자 하는 데에 있다.

세계를 향해 열려 있는 바다의 광활한 공간을 통해 밀려드는 개화의 거센 물결과 소년의 대담하고 티없이 맑은 마음속에서 피어나는 새로운 역사의 창조를 주제로 하고 있다.

 

 

 

꽃 두고    최남선


나는 꽃을 즐겨 맞노라.
그러나 그의 아리따운 태도를 보고 눈이 어리어,
그의 향기로운 냄새를 맡고 코가 반하여,
정신없이 그를 즐겨 맞음 아니라
다만 칼날 같은 북풍(北風)을 더운 기운으로써
인정 없는 살기(殺氣)를 깊은 사랑으로써 대신하여 바꾸어
뼈가 저린 얼음 밑에 눌리고 피도 얼릴 눈구덩에 파묻혀 있던
억만 목숨을 건지고 집어 내어 다시 살리는
봄바람을 표장(表章)함으로
나는 그를 즐겨 맞노라.
 
나는 꽃을 즐겨 보노라.
그러나 그의 평화 기운 머금은 웃는 얼굴 흘리어
그의 부귀 기상 나타낸 성()한 모양 탐하여
주책(主着)없이 그를 즐겨 봄이 아니라
다만 겉모양의 고운 것 매양 실상이 적고
처음 서슬 장한 것 대개 뒤끝 없는 중 오직 혼자 특별히
약간 영화 구안(榮華苟安)치도 아니고, 허다 마장(許多魔障) 
으면서도 굽히지 않고,
억만 목숨을 만들고 늘어 내어 길이 전할 바
씨 열매를 보유함으로
나는 그를 즐겨 보노라.


('소년' 7, 1909.5)


 참고자료


이 시는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통해 제기된 우리 시가의 근대성 획득 문제가 그대로 대두되고 있는 작품으로, 12연의 자수율이 동일할 뿐 아니라, 표현도 진부한 설명의 차원에 머물었으나, 시적 발상과 행간의 처리 등에 있어서는 전대에 비해 한결 발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분히 교훈적이고 계몽적인 내용의 이 시는 1연에서는 꽃을 즐겨 맞는 이유를, 2연에서는 꽃을 즐겨 보는 이유를 노래하고 있다. 시적 자아*가 꽃을 즐겨 맞는 이유는 아리따운 태도 향기로운 냄새라는 꽃의 표면적 아름다움 때문이 아니라, ‘더운 기운 깊은 사랑으로 대표되는 꽃의 내면적 의미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꽃은 칼날 같은 북풍을 더운 기운으로써 대신해 주고, ‘인정 없는 살기를 깊은 사랑으로써 대신하여 주는 존재로서 따스한 기운과 깊은 사랑으로 우주 만물을 소생시켜 주기 때문이다.
또한 그가 꽃을 즐겨 보는 이유는 평화 기운 머금은 웃는 얼굴’, ‘부귀 기상 나타낸 성한 모양이라는 꽃의 순간적 아름다움 때문이 아니라, ‘씨 열매가 표상하는 꽃의 구원한 아름다움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는 꽃의 두가지 속성,  아리따움향기로움평화로움부귀함 등이 갖는 현상적 아름다움과 더운 기운깊은 사랑씨 열매 등이 갖는 본질적 아름다움 중에서, 본질적이고 심층적 아름다움을 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여기서 꽃이 새로운 서구 문명을 상징하고 있다면, 이 시의 주제는 새로운 문명에 대한 참다운 가치를 발견해야 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개화라는 거센 물결에 편승하여 여과 없이 유입되고 있던 서구 문명에 대하여 시적 자아는 거의 무비판적으로 대응하고 있을 뿐 아니라, 나아가 최상급의 수식어로써 예찬하고 있다. 아울러 서구 문명의 수용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적극적으로 합리화하는 비주체적, 비역사적 시대 의식을 보여 주고 있다. 이것이야말로 육당이 가지고 있던 현실 인식의 수준을 가늠케 하는 잣대요, 육당을 위시로 한 그 당시 개화론자들의 한계를 짐작하게 해 주는 점이라 하겠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운사에서/최영미  (0) 2021.12.14
게발 선인장  (0) 2021.11.28
별 헤는 밤/윤동주  (0) 2021.11.23
사월/전봉건  (0) 2021.11.23
전쟁 속에 핀 희망과 타자에 대한 사랑 문 혜 원 | 문학평론가  (0) 2021.11.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