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홍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도유리날개알락나방과 샤스타베이지  (0) 2022.06.16
매실나무와 ?  (0) 2022.06.16
저녁에 찍었더니  (0) 2022.06.16
괴불나무  (0) 2022.06.16
사상자꽃  (0) 2022.06.16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실나무와 ?  (0) 2022.06.16
화단 정리  (0) 2022.06.16
괴불나무  (0) 2022.06.16
사상자꽃  (0) 2022.06.16
패랭이  (0) 2022.06.15

우리나라가 원산인 괴불나무는 키가 높이 자라며 가지의 골속이 비어 있고 어린가지에는 털이 밀생한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로 끝이 뾰족하며 길이 5∼10cm, 나비 4cm 정도이다. 잎 표면에는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 맥 위에는 털이 많다. 잎자루는 길이 3∼10mm로서 선모가 있다. 꽃은 5∼6월에 잎겨드랑이에 피는데 작은꽃자루는 길이 2mm 정도로 선모가 있으며 양쪽 작은포는 합쳐지고 털이 난다. 꽃받침은 길이 3mm 정도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꽃받침조각 가장자리에 털이 난다. 화관은 지름 약 2cm정도로 향기가 나고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며 대롱 부위의 길이는 약 3mm정도이다. 수술대는 길이 7∼10mm이고 밑부분에 털이 있으며 꽃밥은 노란색이다. 암술대는 길이 10mm 정도이고 암술머리는 노란빛을 띤 녹색이다. <사랑의 희열>이 꽃말이다.

 
 
꽃색학명개화기
산토끼꽃목 > 인동과 > 인동속
노란색, 백색
Lonicera maackii (Rupr.) Maxim.
6월, 5월

목차

펼치기

분포지역

일본, 중국;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 황해도, 강원도, 경기도, 경상북도, 충청북도 등 백두대간.

형태

낙엽 활엽 관목.

크기

높이 5m.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형의 타원형이고 첨두이며 넓은 예형 또는 원저이고 길이와 폭이 각 5 ~ 10cm × 2.0 ~ 3.5cm이며 톱니가 없고 잎맥 위에 털이 있거나 없으며, 잎자루에 샘털이 있다.

꽃은 5 ~ 6월에 잎겨드랑이에 피고 향기가 있으며, 꽃대는 길이 2mm로 씨방보다 길고 샘털이 있으며, 작은포는 합쳐지고 연모가 있다. 꽃받침은 길이 3mm로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꽃부리는 지름 2cm로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하고, 열편은 길이와 폭이 각 13mm × 4mm로 무딘형이며 판통은 길이가 3mm이다.

열매

열매는 서로 떨어져 있고 달걀형 또는 원형이며 길이 7mm로 붉은색이고 9월 말 ~ 10월 말에 성숙한다.

줄기

가지의 속이 비어있으며, 일년생가지에 곱슬털이 있다.

생육환경

숲속이나 음지에서 자라며 내한성이 강하다. 내건성은 약하고 맹아력과 내조성, 내공해성이 강하며 비옥적윤한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양호하다.

번식방법

• 종자 및 삽목에 의해 증식한다. 종자번식은 노천매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용도

• 열매는 식용으로 쓰인다. 어린잎과 꽃을 차의 대용품으로 쓴다.(중국 하르빈)
• 관상용으로도 식재가 가능한다.
• 뿌리를 학질약으로 쓴다.

유사종

• 산괴불나무 : 화경의 길이가 1.5-3.0㎝이고 굵은 것.
• 털산괴불나무 : 잎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 맥 위에는 융털이 있는 것.
• 넓은잎산괴불 : 잎이 넓은 타원형 또는 난상타원형이고 원저인 것.
• 절초나무 : 잎에 긴 털이 있고 화경의 길이가 2-3㎝인 것.

특징

한 줄기로 올라가 가지를 내어 퍼지며 꽃은 약 10일 동안 향기가 지속되고 열매는 광채를 내면서 겨울철까지 달려 있다.

비가 왔어요. 축 늘어졌네요.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단 정리  (0) 2022.06.16
저녁에 찍었더니  (0) 2022.06.16
사상자꽃  (0) 2022.06.16
패랭이  (0) 2022.06.15
추억이 새록새록  (0) 2022.06.15

<우리 주변식물 생태도감>에서 소개하는 사상자는?

2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하고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에서 자란다. 원줄기는 높이 40~8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전체에 짧은 복모가 있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3출엽이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소엽은 난상 피침형으로 잎자루의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 6~8월에 개화하며 복산형꽃차례에 피는 꽃은 백색이다. 열매는 4~10개씩 달리고 길이 2~3mm 정도의 난형으로 다른 물체에 잘 붙는 짧은 가시 같은 털이 있다. ‘개사상자’와 달리 소과경이 없거나 짧다. 사료용으로 심기도 한다. 어린잎과 순을 생으로나 데쳐서 쌈 싸먹고 간장이나 된장에 무쳐 먹기도 한다.

특성

쌍자엽식물(dicotyledon), 이판화(polypetalous flower), 2년생초본(biennial herb), 직립형식물(erect type), 야생(wild), 약용(medicinal), 식용(edible), 사료식물(forage plant)

적용증상 및 효능

강정안정, 강정제, 거담, 골통, 관절염, 구충, 대하증, 발한, 백적리, 복통, 수렴살충, 양위, 요통, 음낭습, 음양, 음양음창, 음위, 자궁내막염, 자궁염, 자궁한냉, 지리, 채물중독, 치통, 탈강, 탈항, 통변, 파상풍, 풍비, 풍질, 피부소양증, 해소, 해수, 활혈소종, 흉부냉증, 흥분제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녁에 찍었더니  (0) 2022.06.16
괴불나무  (0) 2022.06.16
패랭이  (0) 2022.06.15
추억이 새록새록  (0) 2022.06.15
백년초  (0) 2022.06.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