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대작이다. 결말을 다 알면서도 조마조마한 것은 그만큼 잘 만들었다는 작품 아닐까?
명량을 못 봐서 안타깝다.
주인공들의 열연이 피부에 와닿는다.
전술 전략등 전쟁을 앞두고 두뇌싸움 등 장수들의 고뇌가 극을 달한다.
이순신 장군의 지적인 모습 조용한 성품 등 매력이 돋보였다.
한산도 대첩(閑山島大捷) 혹은 견내량대첩(見乃梁大捷)은 1592년 8월 14일(선조 25년 음력 7월 8일) 통영 한산도 앞바다에서 조선 수군이 왜군을 크게 무찌른 해전으로, 이 전투에서 육전에서 사용하던 포위 섬멸 전술 형태인 학익진을 처음으로 해전에서 펼쳤다.
배경[편집]
조선 선조 25년(1592년) 5월 29일(양력 7월 8일)에 2차 출동한 조선 수군의 전라좌수사 이순신의 함대는 6월 10일(양력 7월 18일)까지 사천, 당포, 당항포, 율포 등에서 일방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나, 육지에서는 패전을 거듭하고 있었다. 일본 수군은 일본 육군에 호응하여 가덕도와 거제도 부근에서 10여 척에서 30여 척까지 함대를 이루어 서진하고 있었다.
일본은 해전의 패배를 만회하고 제해권을 재차 장악하고자 병력을 증강하였다.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제1진 70여 척은 웅천(熊川)에서, 구키 요시타카의 제2진은 40여 척을, 제3진의 가토 요시아키도 합세하였다.
이에 이순신은 7월 5일(양력 8월 11일), 전라우수사 이억기와 함께 전라 좌, 우도의 전선 48척을 본영이 있는 여수 앞바다에 집결시켜 합동훈련을 실시하였고, 다음 날인 6일에 이억기와 더불어 48척을 거느리고 출진하였고, 노량에서 경상우수사 원균의 함선 7척이 합세하여 조선 수군의 전력은 55척이 되었다. 7월 7일(양력 8월 13일) 저녁, 조선 함대는 당포에 이르러 정박하였다. 이때 목동 김천손(金千孫)에게서 일본의 다이묘 와키자카 야스하루의 함대 73척(대선 36척, 중선 24척, 소선 13척)이 견내량(見乃梁 : 거제시 사등면 덕호리)에 들어갔다는 정보를 접했다.
이 과정에서 약간의 사고가 발생했는데 7월 7일(양력 8월 13일) 이순신 휘하의 수졸 황옥현이 도주했다. 이순신은 황옥현을 잡아들여 군무이탈 혐의로 참수형에 처한 후 그 수급을 효수했다.
견내량파왜병장(見乃梁破倭兵狀)을 보면 한산도해전 당시 일본 수군은 대선 36척, 중선 24척, 소선 13척으로 구성되어있는데, 대선을 흔히 안택선으로 등치하여 병력을 계산하려는 시도가 많다, 하지만 안택선은 당시 일본 내에서도 그렇게 많은 배가 아니였으며, 일본 제일의 다이묘 오다 노부나가조차도 해전에서는 10척 남짓 동원한게 다였으므로 대선이라고 기록된 것은 세키부네중 조금 덩치가 큰 배 인것이 타당할 것이다.
경과[편집]
견내량은 거제도와 통영만 사이에 있는 긴 수로로 길이 약 4km에 넓은 곳도 600m를 넘지 않는 데다, 암초가 많아 판옥선이 운신하고 전투를 벌이기에 좁은 해협이었다. 반면 한산도는 거제도와 통영 사이에 있어 사방으로 헤엄쳐나갈 길도 없고, 한산도는 당시 무인도나 다름이 없는 섬이었기 때문에 궁지에 몰려 상륙한다 해도 굶어 죽기에 알맞은 곳이었다. 이리하여 먼저 판옥선 5 ~ 6척 만으로 한산도 앞바다로 일본 함대를 유인하여 격멸한다는 전략이 세워졌다.
6척의 조선 함대를 발견한 일본 수군은 그들을 뒤쫓아 한산도 앞바다에까지 이르렀고 그곳에서 대기하던 전 조선 함대가 배를 돌려 학익진(鶴翼陣)을 펼쳤다. 여러 장수와 군사들은 지·현자총통(地玄字銃筒) 등 각종 총통을 쏘면서 돌진하였다. 싸움의 결과 중위장 권준(權俊)이 층각대선(層閣大船) 1척을 나포한 것을 비롯해 왜선 47척을 불살라 격침시켰고 12척을 나포하였다.
와키자카 야스하루는 뒤에서 독전하다가 전세가 불리해지자, 패잔선 14척을 이끌고 김해 쪽으로 도주했다. 이 해전은 조선 수군의 큰 승리로 막을 내렸다. 격전 중 조선 수군의 사상자는 있었으나 전선의 손실은 전혀 없었다. 일본군 400여 명은 당황하여 한산도로 도주했다가 뒷날 겨우 탈출하였다.
일본의 전선들은 판옥선에 비해 급격한 회전이 어려웠고(따라서 후방은 비워져 있었지만, 쉽게 도망갈 수 없었다)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함대의 정면에 배치된 함선은 많은 피해가 우려되었지만, 조선 함대는 압도적인 화포의 화력으로 이 불리한 점을 극복하였다. 격침되거나 나포된 일본 함선은 모두 총 59척이었고, 한산도로 도망친 와키자카 휘하의 병력 400여 명(이순신이 조정에 올린 《견내량파왜병장》에는 400명, 《와키자카기》에는 200여 명)은 군량이 없어 13일간 미역을 먹으며 견내량과 무인도에서 머무르다가 뗏목으로 겨우 탈출하였다. 마나베 사마노조는 이때 자신의 배가 소각되자 섬에서 할복하였다.
이 전투는 행주대첩과 진주대첩과 함께 임진왜란 때의 3대 대첩의 하나로 불리며, 이순신은 그 공으로 정헌대부(正憲大夫), 이억기와 원균은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승서(陞敍)되었다.
결과[편집]
의의[편집]
이 해전을 진주대첩(晉州大捷, 1592년 10월 5일 ∼10월 10일)·행주대첩(幸州大捷, 1593년 2월 12일)과 더불어 임진왜란 3대 대첩중의 하나로 부른다. 한산도 대첩은 일본 수군의 주력을 거의 격파해 그들의 수륙병진계획을 좌절시켰다. 그리고 육지에서 잇단 패전으로 사기가 떨어진 조선군에게 승리의 용기를 주었다.
나아가 조선 수군이 남해안 일대의 제해권을 확보함으로써 이미 상륙한 적군에게도 위협을 주어 불리했던 전세를 유리하게 전환할 수 있었다. 구한말 고종 황제의 미국인 고문 호머 헐버트도 “이 해전은 조선의 살라미스 해전이라 할 수 있다. 이 해전이야말로 도요토미의 조선 침략에 사형 선고를 내린 것이다…….”라고 감탄하였다.
한산도 해전 다음 날 벌어진 안골포(安骨浦, 현 창원시 진해구 안골동)에서 벌어진 해전도 이순신은 승리로 이끌었고, 이순신은 정헌대부(正憲大夫, 정2품), 이억기 · 원균은 가의대부(嘉義大夫, 종2품)의 관계를 받았다.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
- 『선조실록(宣祖實錄)』
-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 『日本戰史朝鮮役』(參謀本部, 1924)
- 『임진장초(壬辰狀草)』(조성도역, 동원사, 1973)
- 『임진전란사』(이경석, 임진전란사간행위원회, 1967)
- The Passing of Korea(Hulbert,H.G., Doubleday Page and Co., New York, 1906)
- 한산도대첩 (閑山島大捷)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관련 작품[편집]
- 한산: 용의 출현 (영화)
'구름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랑나비 (0) | 2022.08.22 |
---|---|
이순신 도운 일본 장수 (0) | 2022.08.17 |
프레야 (0) | 2022.08.16 |
귀요미 (0) | 2022.08.16 |
평영친구가 보내온 먹거리. (1)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