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로 쓰기
ㅡ 나이 들수록 검색창에서 단어 확인하는 경우가 늘어가네요...뻔한 것이 새삼 헷갈릴 때가 많아요...한번 테스트 해보세요.ㅡ
ㅇ 찌개(O) 찌게(X) ...........흔하게 잘못 쓰입니다.
ㅇ (약을) 달이다(O) 다리다(X) ----약국이나 중탕집 유리창에서 흔히 봅니다
ㅇ 얼음(O) 어름 (X) .............이것 역시 눈에 잘 띕니다.
ㅇ 안주 일체(O) 안주 일절(X) : 一切 로 한자어는 같으나 ‘일절'은 부정의 뜻과 같이 쓰이는 부사어(우리집에서는 중국산 김치를 일절 사용하지 않습니다.)
'일체' 는 모든 것(주류 일체, 안주 일체)
ㅇ 삼가다(O) 삼가하다(X) : '삼가다' 가 본디말이므로 삼가세요. 삼갑시다, 삼가주세요가 맞는데
삼가하세요, 삼가합시다, 삼가해주세요라고 잘못 씁니다.
ㅇ 퀴즈 문제를 맞히다(O), 퀴즈 문제를 맞추다((X) :맞추는 것은 구두나 양복입니다.
떡볶기 X. 떡볶이 O
바람끼 X 바람기 O
녹록치 않다 X 녹록지 않다 O
통채(로) X 통째(로) O
내노라하다 X 내로라하다 O
육계장 X 육개장 O
존대말 X 존댓말 O
반댓말 X 반대말 O
간난아기 X 갓난아기 O
휴계실 X 휴게실 O
성대묘사 X 성대모사(聲帶模寫) O
짧막하다 X. 짤막하다 O
오도방정 X 오두방정 O
촉촉히 X 촉촉이 O
짭잘하다 X 짭짤하다 O
귀절 X 구절(句節) O
햇님 X 해님 O
겸연적다 X 겸연쩍다 O
화이팅 X 파이팅(fighting) O
덩그라니 X 덩그러니 O
곱배기 X 곱빼기 O
애닯다 X 애달프다 O
빵빠르 X 팽파르 X
팡파레 X 팡파르([프랑스어] fanfare) O
띠어쓰기 X 띄어쓰기 O
아이새도우 X 아이섀도우 X 아이섀도(eye shadow) O
아랫쪽 X 아래쪽 O
윗쪽 X 위쪽 O
어따 대고 반말이야 X 얻다 대고 반말이야 O
※'얻다'는 '어디에다'가 줄어든 말입니다
ㅡ 나이 들수록 검색창에서 단어 확인하는 경우가 늘어가네요...뻔한 것이 새삼 헷갈릴 때가 많아요...한번 테스트 해보세요.ㅡ
ㅇ 찌개(O) 찌게(X) ...........흔하게 잘못 쓰입니다.
ㅇ (약을) 달이다(O) 다리다(X) ----약국이나 중탕집 유리창에서 흔히 봅니다
ㅇ 얼음(O) 어름 (X) .............이것 역시 눈에 잘 띕니다.
ㅇ 안주 일체(O) 안주 일절(X) : 一切 로 한자어는 같으나 ‘일절'은 부정의 뜻과 같이 쓰이는 부사어(우리집에서는 중국산 김치를 일절 사용하지 않습니다.)
'일체' 는 모든 것(주류 일체, 안주 일체)
ㅇ 삼가다(O) 삼가하다(X) : '삼가다' 가 본디말이므로 삼가세요. 삼갑시다, 삼가주세요가 맞는데
삼가하세요, 삼가합시다, 삼가해주세요라고 잘못 씁니다.
ㅇ 퀴즈 문제를 맞히다(O), 퀴즈 문제를 맞추다((X) :맞추는 것은 구두나 양복입니다.
떡볶기 X. 떡볶이 O
바람끼 X 바람기 O
녹록치 않다 X 녹록지 않다 O
통채(로) X 통째(로) O
내노라하다 X 내로라하다 O
육계장 X 육개장 O
존대말 X 존댓말 O
반댓말 X 반대말 O
간난아기 X 갓난아기 O
휴계실 X 휴게실 O
성대묘사 X 성대모사(聲帶模寫) O
짧막하다 X. 짤막하다 O
오도방정 X 오두방정 O
촉촉히 X 촉촉이 O
짭잘하다 X 짭짤하다 O
귀절 X 구절(句節) O
햇님 X 해님 O
겸연적다 X 겸연쩍다 O
화이팅 X 파이팅(fighting) O
덩그라니 X 덩그러니 O
곱배기 X 곱빼기 O
애닯다 X 애달프다 O
빵빠르 X 팽파르 X
팡파레 X 팡파르([프랑스어] fanfare) O
띠어쓰기 X 띄어쓰기 O
아이새도우 X 아이섀도우 X 아이섀도(eye shadow) O
아랫쪽 X 아래쪽 O
윗쪽 X 위쪽 O
어따 대고 반말이야 X 얻다 대고 반말이야 O
※'얻다'는 '어디에다'가 줄어든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