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가장 많이 틀리는 맞춤법 여섯 가지〉
1. ‘안’과 ‘않’
‘안’, ‘않’이 들어갈 단어에서
- ‘안’, ‘않’을 빼도 말이 되면 ‘안’이고,
- 말이 안되면 ‘않’(아니하-줄임말)이다.
(예)
- 안 돼, 안 좋아, 안 하니?: ‘안’을 빼도 말이 됨.
- 않고, 않으니, 않다, 않도록: ‘않’을 빼면 말이 안 됨.
2. ‘되’와 ‘돼’
‘되’, ‘돼’가 들어갈 자리에 ‘하’나 ‘해’를 넣어서
- ‘하’가 어울리면 ‘되’이고,
- ‘해’가 어울리면 ‘돼’이다.
(예)
- 안 돼: ‘안 해’가 어울림.
- 안 되고: ‘안 하고’가 어울림.
3. ‘왔데요’와 ‘왔대요’
둘 다 맞춤법상 맞지만, 의미가 다르다.
‘-데’는 자신이 경험한 사실을 회상할 때 쓰고,
‘-대’는 남이 말한 내용을 전달할 때 쓴다.
- ~데요=~더군요
- ~대요=~다고 해요
(예)
- 배가 고팠데요: 과거에 배가 고팠단 의미
- 배가 고프대요: 남이 고프다는 의미
4. ‘낳다’와 ‘낫다’
■ 낳다
(예)
아이를 낳다.
프로젝트가 좋은 결과를 낳았다.(결과를 이루다)
■ 낫다
(예)
감기와 병은 ‘낫다’ 또는 ‘나았다’(회복했다)
하얀색보다 파란색이 더 낫다.(더 좋다)
5. ‘이따봐’와 ‘있다봐’
■ ‘이따가’는 ‘조금 지난 후에’(시간)
(예) 이따가 거기서 만나.(조금 후에 가겠다)
■ ‘있다가’는 ‘어떤 장소에 머물다가’(공간)
얼마의 시간이 경과하다.
(예) 조금 있다가 갈게.(이곳에 잠시 머물다 가겠다)
6. ‘로서’와 ‘로써’
‘로서’, ‘로써’ 앞에
- 신분이나 자격이 오면 ‘-로서’를 쓰고,
- 수단이나 도구를 의미하면 ‘-로써’를 쓴다.
(예)
- 학생으로서 할 일이 아니다.
- 대화로써 문제를 풀자.
7. 자주 틀리는 맞춤법
▸안 되 → 안 돼
▸어의없다 → 어이없다
▸금새 - 금세('금시에' 줄임말)
▸왠만하면 → 웬만하면
▸왠 떡이야 → 웬 떡이야
▸어따 대고 → 얻다 대고
▸할께요 → 할게요
▸않되나요 → 안 되나요
▸바램 → 바람
▸잠궜다 → 잠갔다
▸오랫만에 → 오랜만에
▸역활 → 역할
▸나중에 뵈요 → 나중에 봬요
▸건들이다 → 건드리다
▸애띠다 → 앳되다
▸설겆이 → 설거지
▸일일히 → 일일이
▸어떻해 → 어떡해/어떻게 해
▸문안하다 → 무난하다
▸설레임 → 설렘
▸내 꺼 → 내 거
▸몇일/몇 일 → 며칠